인페르노
배경.
"인페르노"는 베스트셀러 작가 댄 브라운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영화로, 2016년에 론 하워드 감독이 메가폰을 잡고 톰 행크스가 주연을 맡아 개봉되었습니다. 이 영화는 '다빈치 코드', '천사와 악마'에 이은 로버트 랭돈 시리즈의 세 번째 작품으로, 상징학자이자 해독 전문가인 랭돈 교수의 모험을 계속 이어가고 있습니다.
줄거리.
영화 "인페르노"의 이야기는 로버트 랭돈 교수가 병원에 기억을 잃은 채 깨어나면서 시작됩니다. 그는 마지막 기억이 몇 일 전이며, 왜 이탈리아 피렌체에 있는지, 또 왜 총상을 입었는지 전혀 기억하지 못합니다.
랭돈 교수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던 중, 경찰과 암살자에게 쫓기게 되고, 의사인 시에나 브룩스의 도움으로 간신히 탈출에 성공합니다. 이후 그는 자신의 재킷에서 단테 알리기에리의 "신곡"에 바탕을 둔 수정된 예술 작품이 담긴 포인터를 발견하게 되고, 이를 단서로 사용해 지옥편에 숨겨진 메시지를 해독하기 시작합니다.
랭돈과 시에나는 단테의 작품에 숨겨진 지도와 코드를 따라가며, 글로벌 위기의 실마리를 풀어가게 됩니다. 그들이 추적하는 것은 신비한 음모가 담긴 바이러스로, 인류의 반을 죽일 수 있는 잠재력을 지닌 치명적인 생물학적 위협입니다. 이 위협의 배후에는 트랜스휴머니즘을 신봉하는 억만장자 제르손 자일러가 있으며, 그는 인류를 구하기 위해 반드시 인구를 줄여야 한다고 믿고 있습니다.
줄거리는 복잡한 단서와 예측할 수 없는 반전으로 가득 차 있으며, 랭돈과 시에나는 이탈리아의 고대 미술과 문화를 단서로 삼아 베네치아, 그리고 마침내 이스탄불까지 이르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그들은 WHO, 랭돈의 오래된 친구인 엘리자베스 시너바와 그녀의 팀, 그리고 자신들을 쫓는 미스터리한 조직들과 교차하며 협력하거나 대립합니다.
영화는 랭돈이 기억을 되찾고, 시에나의 진정한 정체와 그녀가 자일러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 그리고 바이러스를 막기 위해 그들이 어떤 선택을 해야 하는지에 대한 충격적인 진실을 밝혀내면서 절정에 달합니다. 마지막에 이르러 랭돈은 바이러스를 안전하게 격리시키는 데 성공하며, 잠재적인 세계적 재앙을 막아내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합니다.
영화의 결말에서 랭돈은 인간성의 복잡함과 위기 상황에서의 선택에 대해 심오한 통찰을 얻으며, 다시 한번 인류의 역사와 미래에 대해 성찰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리뷰.
이 영화는 감독 론 하워드의 솜씨로 기대를 모았으나, 이전 작품들에 비해 평가는 다소 엇갈립니다. 먼저, 영화의 시작 부분은 흥미로운 설정으로 관객의 주의를 끌기에 충분합니다. 기억을 잃은 주인공이 국제적 음모 속에서 자신의 기억을 되찾으려는 급박한 상황은 분명 긴장감을 불러일으키죠. 특히, 톰 행크스는 로버트 랭돈 역으로서 그의 전문성과 친숙함을 잘 살려내며 영화를 이끕니다.
하지만, 영화는 중반을 넘어가면서 몇 가지 문제에 부딪힙니다. 랭돈과 시에나의 쫓고 쫓기는 도주 장면은 이야기를 진행시키는 데는 중요하지만, 때때로 너무 빈번하게 등장하여 영화의 리듬을 무너뜨리고 몰입을 방해합니다. 또한, 복잡한 줄거리와 많은 인물들이 등장하면서 스토리가 지나치게 과부하되어 관객이 혼란을 느끼기 쉽습니다.
영화는 아름다운 유럽의 배경과 이를 활용한 시각적인 장면들로 눈길을 끕니다. 피렌체, 베네치아, 이스탄불 등의 도시가 제공하는 역사적인 장소들은 시각적인 면에서 큰 장점입니다. 영화의 촬영 기술과 뛰어난 세트 디자인도 감상 포인트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스토리의 전개 방식과 해결책이 다소 허무하고 예측 가능하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특히, 전작들과 비교했을 때, 이번 영화는 역사적인 심층성이나 신선한 반전이 다소 부족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또한, 일부 비평가들은 캐릭터 개발의 부족을 지적하며, 특히 시에나 브룩스 캐릭터가 주어진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했다고 비판합니다.
결론적으로, "인페르노"는 댄 브라운의 원작 소설 팬들이나 톰 행크스의 연기를 좋아하는 이들에게는 여전히 볼 가치가 있는 영화입니다. 그러나 더 깊이 있는 스토리텔링과 놀랄만한 트위스트를 기대하는 관객에게는 약간 실망스러울 수도 있는 작품입니다.